太史公談論六家要指
《易大傳》[繫辭]에 「天下一致而百慮하고 同歸而殊塗」라 夫陰陽﹑儒﹑墨﹑名﹑法﹑道德이니 此는 務為治者也니 直所從言之異路하야 有省不省耳니라。
<주역>의 대전(계사전)에 이르기를,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지만 백가지 생각이 있고 같은 곳으로 돌아가지만 길이 다르다.” 무릇 음양가(陰陽家)·유가(儒家)·묵가(墨家)·명가(名家)·법가(法家)·도덕가(道德家)들이니 이들은 세상을 다스리는 일에 힘을 쓰지만 다만 그들이 따르는 논리는 길이 달라서 살필 것도 있고 살피지 않아야 할 것도 있느니다.
嘗竊觀陰陽之術이면 大祥而忌諱하여 使人拘而多所畏라 然이나 其序四時之大順은 不可失也니라。
일찍이 음양가의 학술을 가만히 살펴보면, 길흉의 징조에 집착하여 꺼리게 되어 사람을 구속하고 겁을 먹게 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사계절 큰 순서의 질서에 관하여는 버릴 수 없는 것이다.
儒者는 博而寡要하여 勞而少功이라 是以其事難盡從이나 然이나 其序君臣父子之禮와 列夫婦長幼之別은 不可易也。
유가의 학설은 해박하지만 요점이 적어서 애써 보아도 효과가 적다 이 때문에 그들의 학설을 모두 따르기란 어렵다. 그러나 군신과 부자간의 예의 서열과 부부와 장유의 구별을 열거한 점은 가히 바꿀 수 없는 것이다.
墨者는 儉而難遵이라 是以其事不可徧循이나 然이나 其彊本節用은不可廢也니라。法家는 嚴而少恩이나 然其正君臣上下之分은 不可改矣니라。
묵가는 근검절약을 내세워 따르기가 어렵다 이때문에 그들의 주장을 모두 좇을 수는 없지만 그러나 농업을 강화하고 지출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없애서는 안 될 것이다. 법가는 엄격하여 은택이 적지만 그러나 군주와 신하의 상하 구분을 명확하게 한 것은 바꿀 수 없느니라.
名家는 使人儉而善失真이나 然其正名實은 不可不察也니라。
명가는 사람을 명분에 얽매게 하여 진실성을 잃는 점은 있지만 그러나 명분과 실재를 바로 잡은 것은 살피지지 않을 수 없으니라.
道家는 使人精神專一하여 動合無形하고 贍足萬物이라。
도가(道家)는 사람으로 하여금 정신을 하나로 모아서 행동을 무형의 도(道)에 들어맞게 하고 만물을 풍족하게 한다.
其為術也는 因陰陽之大順하고 采儒墨之善하고 撮名法之要하여 與時遷移하고 應物變化하고 立俗施事하니 無所不宜하여 指約而易操하고 事少而功多라。
그 학술은 음양가의 사계절의 큰 순서에 따르고, 유가와 묵가의 좋은 점을 취하고, 명가와 법가의 요점을 취합하여 시대의 맞추어 변화하고, 만물의 변화에 순응하고, 풍속을 수립하여 사람의 일에 응용하니 적절하지 않은 것이 없고 뜻이 간명하면서 파악하기가 쉽고, 일은 적게 하지만 효과는 크다.
儒者則不然이라。以為人主天下之儀表也에 主倡而臣和하고 主先而臣隨라。如此則主勞而臣逸이라。
유가는 그렇지 못하다. 군주를 천하의 모범이라 여기기 때문에 군주가 외치면 신하는 답하고, 군주가 앞장서면 신하는 따른다. 이와 같이 한다면 군주는 지치고 신하는 편안하게 된다.
至於大道之要는 去健羨하고 絀聰明하며 釋此而任術이라。夫神大用則竭하고 形大勞則敝라。形神騷動에 欲與天地長久는 非所聞也라。
도가의 대도의 요점에 이르러서는 강함과 탐욕을 버리고 총명함을 물리치며, 이러한 것들을 방치하고 법도에 맡기는 것이다. 무릇 정신을 너무 쓰면 고갈되고, 육체를 혹사시키면 피폐해 진다. 육체와 정신이 혼란하고 동요되는데 천지와 더불어 영원히 함께 하려는 경우는 들어본 적이 없다.
夫陰陽四時와 八位와 十二度와 二十四節이 各有教令,順之者昌,逆之者不死則亡,未必然也,故曰「使人拘而多畏」。
음양가는 4계절과 8위(位)와 12도(度)와 24절기마다 각각 지켜야 할 것과 피해야 할 것이 있어서 그에 따르면 번창하고 거스르면 죽거나 망한다고 한다.
반드시 그러한 이치가 아님에도 말하기를 “사람들을 구속하여 두려워하는 일이 많다.”고 했던 것이다.
◯ 八位(팔위) : 팔괘(八卦)의 방위(方位). 건괘(乾卦)는 서북, 태괘(兑卦)는 서, 이괘(离卦)는 남, 진괘(震卦)는 동, 손괘(巽卦)는 동남, 감괘(坎卦)는 북, 간괘(艮卦)는 동북, 곤괘(坤卦) 서남 방향이다.
夫春生夏長하고 秋收冬藏은 此天道之大經也며 弗順則無以為天下綱紀니라 故曰「四時之大順은 不可失也」라 하니라。
무릇 봄에 태어나고 여름에 자라고 가을에 거두어들이고 겨울에 저장하는 것은 자연계의 큰 법칙이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천하의 기강을 세울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말하기를 “사계절의 운행 순서는 놓칠 수가 없다.”라고 했다.
夫儒者는 以六蓺為法이라。六蓺經傳以千萬數하여 累世不能通其學이며 當年不能究其禮니라
무릇 유가는 육예를 법도로 삼는다. 육예의 경전(經傳)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아 여러 세대에 걸쳐도 그 학술에 통달할 수 없으며, 늙을 죽을 때까지 배워도 그 예절은 제대로 배울 수 없다.
故曰「博而寡要하여 勞而少功」이라하니라。若夫列君臣父子之禮와 序夫婦長幼之別은 雖百家弗能易也라。
그래서 말하기를 “범위가 넓으나 그 요점을 적어서, 애써 보았자 효과는 적다.”라고 했다. 군신과 부자의 예절과 부부와 장유의 분별을 정해 놓은 것과 같은 것은 비록 어떤 학파라 할지라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墨者亦尚堯舜道하여 言其德行曰:「堂高三尺이요 土階三等이며 茅茨不翦하고 采椽不刮이라。食土簋하고 啜土刑하며 糲粱之食하고 藜霍之羹이라。夏日葛衣하고 冬日鹿裘라。」
묵가도 역시 요임금과 순임금의 도를 숭상하여 그들의 덕행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堂)의 높이는 석자였고, 흙으로 만든 계단은 세 계단이며, 지붕을 띠풀로 잇고도 다듬지 않았으며 서까래는 참나무를 취했으나 다듬지 않고 그대로 썼다.
질그릇에 밥을 먹고 질그릇에 국을 담아 마셨는데, 현미나 기장쌀로 만든 밥에 명아주 잎과 콩잎으로 끓인 국을 먹었다. 여름에는 갈포 옷을 입고, 겨울에는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지냈다.”
其送死는 桐棺三寸이며 舉音不盡其哀라。教喪禮는 必以此為萬民之率이라。使天下法若此면 則尊卑無別也라。
묵가의 장례에서는 오동나무 관의 두께는 세 치를 넘지 않았으며, 곡소리도 그 슬픔을 다 드러내지 않게 했다. 상례를 가르칠 때는 반드시 이를 행하게 하여 만백성의 모범이 되게 했다. 만약에 천하의 법이 이와 같이 행하여진다면 귀하고 천한 구별이 없어질 것이다.
夫世異時移면 事業不必同이라 故曰「儉而難遵」이라하니라。要曰彊本節用은則人給家足之道也라。此墨子之所長은 雖百長弗能廢也라。
무릇 세상이 달라지고 시대가 변화하면 모든 일이 꼭 같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말하기를 “지나친 근검절약은 따르기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
요지에서 말하는 농업을 강화하고 지출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곧 사람마다 풍족하고 집집마다 부유하게 되는 방법이다. 이는 묵가의 장점으로 비록 어떤 학설로도 없앨 수는 없는 것이다.
法家는 不別親疏하고 不殊貴賤이며 一斷於法이면 則親親尊尊之恩絕矣라。可以行一時之計이나 而不可長用也라
법가는 가깝고 먼 관계를 구별하지 않고, 귀하고 천한 것이 다르지 않으며, 오로지 법에 따라 단죄하므로 자신의 친족을 가깝게 대하고 연장자를 존경하는 은혜가 단절되고 만다. 이는 한때의 계책은 될 수 있지만 오래 사용할 수는 없다.
故曰「嚴而少恩」이라。若尊主卑臣하며 明分職不得相踰越은 雖百家弗能改也니라。
그래서 말하기를 “엄격하면서도 은혜가 적다.”고 한 것이다.
만약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추며, 명분과 직분을 명확하게 하여 서로가 그 주장을 넘지 못하게 한 것은 비록 다른 학파라도 고칠 수 없는 것이다.
名家는 苛察繳繞하여 使人不得反其意하고 專決於名而失人情이라 故曰「使人儉而善失真」이라하니라。若夫控名責實하고 參伍不失은 此不可不察也니라。
명가는 뒤엉킨 사물을 철저하게 살펴보아서 사람들로 하여금 그 뜻을 어기지 못하게 하고, 오로지 명분에만 집착하여 인정을 잃게 만든다. 그래서 말하기를 “사람들로 하여금 주늑들게하여 진실성을 잃는다.”고 한 것이다. 만약 무릇 면분과 진실을 따지고 상호 비교함으로서 그것들을 잃지 않도록 한 것은 이는 살피지 않을 수 없다.
道家無為하며 又曰無不為하니 其實易行이나 其辭難知라。其術以虛無為本하고 以因循為用이라。無成埶하고 無常形이라 故能究萬物之情이라。不為物先하고 不為物後라 故能為萬物主니라。
도가는 무위(無為)를 말하면서 또 무불위(無不為)를 말하니, 그들의 주장은 실제로 행동하기는 쉬우나 그 말은 이해하기 어렵다.
도가의 학술은 허무를 근본으로 삼고, 순리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만물은 이루어진 형세가 없고 일정한 형상도 없기 때문에 만물의 참다운 모습을 밝힐 수 있다. 만물에 앞서지도 않고 뒤처지지도 않기 때문에 만물을 주재할 수 있는 것이다.
有法無法하니 因時為業하며 有度無度하여 因物與合이라。故曰「聖人不朽하고 時變是守라。虛者道之常也며 因者君之綱」也라하니라。
법이 있기도 하고 법이 없기도 하니 시세에 따라 일을 이루며, 법도가 있기도 하고 법도가 없기도 하여 만물의 형상에 따라 서로 어울린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성인의 사상은 영원히 소멸되지 않고 시세의 변화에 맞추어 순응한다.
허무는 도의 변치 않는 규율이며, 인연이라는 것은 군주강령이다.”라고 하는 것이다.
群臣并至는 使各自明也라。其實中其聲者謂之端하고 實不中其聲者謂之窾이라。窾言不聽이면 姦乃不生이요 賢不肖自分하며 白黑乃形이라。
군주와 신하가 함께 마주하는 것은 각자의 직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실제 그 말이 부합하는 것을 바르다(端) 하고, 실제와 그 말이 부합하지 않는 것을 비어 있다(窾) 한다. 빈말을 듣지 않으면 간사한 자가 생기지 않고, 현명한 자와 현명하지 않은 자가 저절로 나누어지며, 흑백이 저절로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在所欲用耳면 何事不成이랴。乃合大道하고 混混冥冥하여 光燿天下면 復反無名이라。凡人所生者神也요 所託者形也니라。
문제가 있는 곳에 현명한 자를 등용하고자 하면 무슨 일인들 못 이루겠는가? 이에 대도에 부합하게 되고 무지몽매한 경계로 들어가서 온 천하를 환하게 비추게 되면 다시 무명(無名)의 경지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무릇 사람이 살아있는 것은 정신이요 정신은 육체에 기탁한다.
神大用則竭하고 形大勞則敝하며 形神離則死니라。死者不可復生하고 離者不可復反이라 故聖人重之니라。
정신을 지나치게 사용하면 고갈되고, 육신을 너무 혹사하면 피로해지며, 정신과 육체가 분리되면 사람은 죽는다.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날 수 없고, 분리된 것은 다시 결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것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由是觀之면 神者生之本也요 形者生之具也라。不先定其神하고도 而曰「我有以治天下」라하니,何由哉아?
이런 관점에서 살펴보면 정신은 생명의 근본이요, 육체는 생명의 도구이다. 먼저 그 정신을 안정시키지 않고도 “내가 천하를 다스릴 수 있다.”고 하니 무슨 연유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