韻考拔 相通韻目
東冬江 相通
支微齊佳灰 相通
魚虞 相通
眞文元寒刪先 相通
蕭肴豪 相通
歌麻 相通
庚靑蒸 相通
侵覃鹽咸 相通
'心眼齋 > 漢詩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唐 (0) | 2023.06.27 |
---|---|
春秋五霸 와 戰國七雄 (0) | 2022.08.21 |
秋聲賦(추성부)---가을 소리 (0) | 2019.10.21 |
漢文體의 種類 (0) | 2019.08.22 |
서계 박세당 (0) | 2019.01.11 |
韻考拔 相通韻目
東冬江 相通
支微齊佳灰 相通
魚虞 相通
眞文元寒刪先 相通
蕭肴豪 相通
歌麻 相通
庚靑蒸 相通
侵覃鹽咸 相通
四唐 (0) | 2023.06.27 |
---|---|
春秋五霸 와 戰國七雄 (0) | 2022.08.21 |
秋聲賦(추성부)---가을 소리 (0) | 2019.10.21 |
漢文體의 種類 (0) | 2019.08.22 |
서계 박세당 (0) | 2019.01.11 |
현문독립노성군(玄門獨立老聖君)
수중포일대도존(守中拘一大道尊)
작제왕산만고존(作帝王山萬古存)
목자개기건등신(木字開基建等身)
불법을 우뚝 세운 성군(고려왕)은 늙었으니
올바른 덕 한결같이 지켜 大道를 높였다네.
천제가 지은 산은 만고에 남았는데
李氏(이성계)가 개국하여 같은 반열 세웠구나.
서산절의태산중(西山節義泰山重)
공흥달가지차리(公興達可知此理)
어찰난회금석조(御札難回金石操)
청풍름름감악리(淸風凜凜紺嶽裡)
서산(西山)의 절의는 태산처럼 무겁도다.
공(南乙珍))은 정포은(鄭圃隱)과 더불어 이 이치를 알았네.
어찰(御札)로도 금석 같은 지조를 돌이키기 어려우니
고상한 품격 감악산 굴속에 사무치도다.
初七 坐樓店 飯訖 (중략) 遂進發 過徐五郞店。店名頗奇 恰似窈窕人 傳歌曲而播流者。초 칠일 주점에 앉아 밥을 먹었다......마침네 출발하여 서오랑점을 지나는데 점포 이름이 자못 기이하여 요조숙녀가 전한 가곡과 흡사하여 전파된 것이던가? 忽想 季文蘭 榛子店事 便生中國色也。 所謂徐郞 或爲有心者也耶 夕次松隅 抱川境也。문득 계문란의 진자점의 일이 생각나니 한편으로 중국 색을 풍기는구나. 이른바 서랑은 혹시 유심한 사람이리라. 저녁에 송우리 포천 경내에 머물렀는데 (0) | 2024.06.23 |
---|---|
추석 인사 편지 (0) | 2023.09.10 |
太史公談論六家要指 (0) | 2023.04.16 |
초서 편지글 (0) | 2021.10.01 |
小學集註跋 (0) | 2020.12.05 |
雪夜 눈 내리는 밤에 2025. 1 린사시회
玉屑平鋪三白夜(옥설평포삼백야) 흰 눈이 평탄히 펼쳐져 모두 흰 밤에
銀波蕩漾遠連峰(은파탕양원련봉) 은빛 물결 넘실넘실 산봉우리로 이어지네.
餞龍逐厄唱歌曲(전룡축액창가곡) 용의 해 전송하며 액 쫓으려 노래 부르고
迎巳祈寧傾酒鍾(영사기녕경주종) 뱀의 해 맞아 안녕 빌며 술잔 기울이네.
每日寒波人道滑(매일한파인도활) 매일 이어지는 한파에 인도는 미끄럽고
自晨暴雪里門封(자신폭설리문봉) 새벽부터 폭설 내려 마을 문 봉하였네.
忽然勝景成屛畵(홀연승경성생화) 홀연히 뛰어난 경치 병풍 그림 이루니
得暇尋鄕故友逢(득가심향고우봉) 휴가 얻어 고향 찾아 옛 친구 만난다오.
乙巳賀正 2025. 1 린사
當今賀正世人情 요즈음 새해를 축하함이 세인의 정인데
彈劾危機滿喊聲 탄핵이 위기라고 함성이 가득하네.
不正選管彰白日 부정한 선거 관리 백일하에 드러나서
民心安定國家亨 민심이 안정되면 국가가 형통하리.
乙巳元旦
靑巳元朝察世情 푸른 뱀해 아침에 세정을 살펴보니
危機彈劾滿民聲 탄핵의 위기라고 여론이 가득하네.
不安政局何如好 불안한 정국을 어찌하면 좋은가
復位君王萬事亨 군왕이 복위하면 만사가 형통하리
근작 2수 (0) | 2024.10.03 |
---|---|
장석 서명택 근작 2수 (0) | 2023.07.15 |
의정부한시백일장 고선 (0) | 2023.07.13 |
근작 2수 (0) | 2022.08.09 |
삼복의 더운 날씨 (0) | 2022.07.26 |
해남식당에서
마하 선주선선생님 개인전 오픈식날
한국미술관 2024.11.20
삼청시사 수락산 아회 (0) | 2023.07.01 |
---|---|
訪宋鍾寬美術館 2022. 7. 삼청시사 (0) | 2022.08.17 |
春望 (0) | 2021.02.26 |
삼청시사 강원도 고성 거진항에서 (0) | 2019.09.08 |
詠雪梅 삼청시사 1월 오외수 (0) | 2019.01.21 |
삼청시사 현판식
籬菊 2024. 10. 린사
經春渡夏迓秋陽(경춘도하아추양) 봄 지나고 여름 건너 가을볕 맞이하니
綻菊東籬帶暗芳(탄국동리대암방) 국화 피는 울타리에 은은한 향기 띄었네
晩節孤繁含夜露(만절고번함야로) 늦은 철에 번성하여 밤이슬 머금었고
寒天獨秀傲晨霜(한천독수오신상) 추운 날씨에 빼어나서 새벽이슬 능멸하네
餐英屈子離騷樂(찬영굴자이소락) 꽃잎 먹는 굴원은 근심 떠나 즐거웠고
釀酒陶翁隱逸長(양주도옹은일장) 술 거르는 도연명은 속세떠난지 오래됐네
深院請朋談笑裏(심원청붕담소리) 심원에 벗 청하여 담소하는 가운데
淸姿鑑賞自傾觴(청자감상자경상) 맑은 자태 감상하며 스스로 술 기우리네
讀思亭記有感 2024. 10. 린사
兩親恩德我身生 양친의 은덕으로 내 몸이 테어났으니
何敢寒貧忘育情 어찌 감히 가난하다고 기른 정을 잊으리오
致喪悲哀居侍墓 상례 치르고 슬퍼하며 시묘를 살았으니
思亭耽讀孝殫誠 사정기 탐독하면 효도에 정성 다하리라
근작 3수 (0) | 2025.01.13 |
---|---|
장석 서명택 근작 2수 (0) | 2023.07.15 |
의정부한시백일장 고선 (0) | 2023.07.13 |
근작 2수 (0) | 2022.08.09 |
삼복의 더운 날씨 (0) | 2022.07.26 |
한국미술관
율곡선생 종국월과 최신작 (0) | 2024.06.12 |
---|---|
수락산노강서원아회 (0) | 2023.06.11 |
조순선생시 (0) | 2023.02.10 |
23년전에 세운 표지석 (0) | 2022.04.17 |
영조소화 자작시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