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 樑 文

 

내용에 따라 창건상량문, 중수상량문, 중건상량문 등으로 나뉜다. 원래 상량대에 간략하게 붓글씨로 썼다.

龍 歲在 OOO(상량일) OOO김개똥 成造運 竪柱上樑 應 天上之 三光, 備 人間之 五福 龜 ("성조운" 세글자는 생략해도 됨)

 

궁실, 관아, 학교, 사원 등에서는 써야 할 내용이 많아 따로 상량문을 써서 상량대에 홈을 파고 넣어 두었다. 종이 대신 비단에 적기도 하며 대나무나 나무·구리 통 등에 넣는데 통의 위아래에는 다음 중수 때 보태 쓰라는 의미로 패물이나 부적을 함께 넣었다.

일반 집에서는 장혀 배바닥에 먹글씨로 써서 마루에서 올려다 볼 수 있게 하지만 공공 건물에서는 마루도리 배바닥이나 받침장혀의 등덜미에 써서 결구(結構)하면 가려져 보이지 않게 하였다.
공공건물에서는 조영(造營) 사실과 집지은 뒤 좋은 일이 있기를 비는 찬문(讚文), 공역에 관계한 사람들의 이름과 글을 쓴 시기를 적어 둔다. 일반 집에서는 집의 좌향과 개기(開基), 입주, 상량 날짜와 시각을 한 줄로 내려 쓰고 그 아래 두 줄로 기원 내용을 적는다. 때로는 집주인의 방명(芳名)을 적어 두기도 하였다. 선비들은 자신의 문집에 자기가 지은 상량문이나 당대 명문장의 상량문을 싣기도 하였다. 상량을 올리는 날에는 성대한 상량고사를 지냈으며 이를 상량식이라고도 하였다.

雲山書堂重建上樑文

人傑鍾河岳之精每欽聲響之不泯

地靈畜海山之勝却歎廢興之相尋

居然築於舊疆美哉輪於新構

恭維淡庵 白先生

圭璋令質氷檗淸標

闢佛家勝大之言于韓表而不讓

陳聖人彝倫之敎與陸奏而同功

正直廉淸前史之紀載備矣

斥邪衛道後賢之稱述炳然

亦粤惺軒 白先生

名祖家肖孫大賢門高弟

蚤承一副旨訣,《敬齋箴之精要

猛着十分工夫,《近思錄之親切

資麗澤於講道月川之門

贊戎籌於臨機龍蛇火旺之旅

家傳緖業有是祖而是孫

山仰輿情匪自今而自昔

蓋此黃竹里一局實爲紫雲山名區

十折畫圖之形便是三十六元化之洞

一望浩淼之狀還勝七百里靑草之湖

豈徒地勝之亶然爰有主人之相得

惺翁之琴書有托地不秘而天不慳

退陶之詩筆竝輝山益高而水益洌

於是乎

兩賢俎豆之典公議足徵

同堂昭穆之倫古禮可據

卽依庚桑子尸祝之例謹用吳中書屛障之規

二仲登於香煙化榛莽而顏色

四時薦於和氣掃灰燼而光輝

俄驚百六之厄會適丁忍見千古之靈光幷毁

玄都葵麥之感春風助懷

白鹿荊榛之歎夕陽增咽

諸孫益切見羹之慕多士不忘採菽之思

乃就妥靈舊墟新修講學遺制

取屋材於城邑不待攻斲之煩

募役丁於村隣益見趨赴之敏

掃舊礎而星列依俙昔日光華

展彩屛於雲騰怳惚當年物色

涼軒燠室隨起居之各當

小闑大杗任規矩之相適

夫然後尊衛之粗效尙庶幾陟降之在玆

玆陳兒郞偉之短詞庸助呼邪許之大役

拋樑東滄溟旭日照心紅

先生家學元無貳直把惺惺喚主翁

拋樑西高臺超遞夕陽迷

隨時宴息眞功在更向明朝孶舜鷄

拋樑南靑螺秀色與天涵

祥雲瑞霱從中出產得南州幾善男

拋樑北屭屭巨岳參雲特

時行霖雨慰三農萬國黎元歌帝力

拋樑上晴天萬里奎星朗

文明初載露精華五百年今徵瑞象

拋樑下山簇川回只曠野

不穡不能三百廛誰是齊郊祈歲者

伏願上樑之後

山川眷騭雲物護持

周旋戶庭體淡翁廉潔之心法

俛仰堂牗述惺祖講磨之眞詮

而不佚乎前光且有俟於來哲

崇禎紀元後五周己亥三月日後學聞韶 金道和謹撰

 

운산서당 중건상량문雲山書堂重建上樑文[김도화(金道和)]

인걸은 산하의 정기가 모여 태어나니, 늘 유풍 여운이 없어지지 않음을 흠모한다. 신령한 땅은 산하의 빼어남이 모였으나 도리어 끊임없이 이어지는 흥폐를 탄식한다. 어느덧 옛터에 서당을 지으니, 크고 아름답구나, 새로 지은 서당이여!

삼가 보건대 담암 백 선생은 백옥과 같은 훌륭한 자질로 고난 속에서도 절개를 지키는 청렴한 의표를 지니셨다. 불가의 수승 방대한 말을 물리친 것은 한유(韓愈)의 표문(表文)에 뒤지지 않았고, 성인의 떳떳한 가르침을 진술한 것은 육 선공(陸宣公)의 주의(奏議)와 공이 동등하다 하겠다. 정직하고 청렴결백함은 이전 역사에 갖추어 기재되어 있고, 사악함을 물리치고 바른 도를 지킴은 후대 현인이 환하게 칭송하였다.

또한 성헌(惺軒) 백 선생(白先生)께서도 이름난 조상을 닮은 후손이며 매우 어진 가문의 훌륭한 자제로, 정미(精微)한 주희(朱熹)경재잠(敬齋箴)에 대한 일부 요결을 일찍 이었고, 친절한 근사록에 대한 충분한 공부에 용맹(勇猛) 착력(着力)하셨다. 도를 익힘에 학봉 김성일(金誠一), 서애 유성룡(柳成龍), 월천 조목(趙穆)과 더불어 붕우 간에 서로 학문을 강론하고, 임진년(1592, 선조25) 난리 때와 화왕산성(火旺山城)에서는 의병과 더불어 임기응변하여 싸움을 도왔다.

집안에서 대대로 유업(遺業)을 전해 이런 조상이 있었기에 이런 후손이 나왔고, 민심이 산처럼 우러러보는 것은 지금부터가 아니고 예부터이다. 대개 이 황죽리(黃竹里) 일대는 실제 자운산(紫雲山)의 유명한 지역이다. 수십 번 굽이치는 그림 같은 형상은 바로 삼십육동천(三十六洞天)이고 한 번 바라본 아득한 형상은 다시 700리 펼쳐진 청초호(靑草湖)보다 낫다. 어찌 다만 땅의 승경만 위대하다 하겠는가. 바로 주인과 융합됨이 있기 때문이다. 성헌(惺軒)의 금서(琴書)에 의탁함이 있으니 땅은 숨기지 않고 하늘은 아끼지 않았으며, 퇴도(退陶) 이황(李滉)의 시필(詩筆)과 나란히 빛나니 산이 높을수록 물은 더욱 세차다.

이에 두 분 제사의 예식은 공의(公議)로 밝힐 수 있고, 조손(祖孫) 소목(昭穆)의 차례는 고례에서 근거할 수 있다. 경상자(庚桑子)의 시동과 축관의 예에 따르고 오 중서(吳中書)의 병장(屛障)의 규범을 삼가 쓴다. 2월과 8월에는 향 연기를 올리고 잡초를 제거하고서 환하게 하며, 사계절에는 원기에 찬 음식을 올리고 재를 쓸고서 빛나게 한다. 잠시 백륙(百六)의 액운이 마침 성해지는 것에 놀라고 차마 천고의 신이한 빛이 아울러 사라짐을 볼 것이다. 신선이 사는 곳이 해바라기와 보리로 흔들리는 느낌은 봄바람에 마음을 자극하고, 주자가 강학하던 백록동(白鹿洞)이 가시덤불이 된 탄식은 석양에 더욱 목멘다. 자손들은 조상에 대한 사모의 정이 더욱 절실하고 선비들은 난리에 다시 정권을 잡을 생각을 잊지 못한다.

이에 옛터에서 신주를 섬겨 모시고, 남기신 제도를 새로 닦아 연마한다. 성읍에서 집을 지을 재목을 가져다 번거롭게 깎거나 다듬지 않았고, 이웃 마을에서 일할 사람을 불러다 민첩한 일 처리를 보여 주었다. 옛 주춧돌을 빼내니 별처럼 늘어서 있고 예전에 희미하던 것이 밝게 빛난다. 우뚝 솟아올라 채색 병풍을 펼친 듯하고, 당년의 경색이 황홀하다. 집은 서늘하고 방은 따뜻하게 하여 기거하는 데 각각의 마땅함을 따랐고, 문지방은 작게 하고 대들보는 크게 하여 규모가 서로 적절하게 하였다. 대저 그런 뒤에 높여서 지키는 대략의 효험이 드러나 이에 조상의 신령이 몰래 보호해 주기를 바란다. 여기에 어영차하는 짧은 글을 진술하니, 야호하며 소리치는 큰일을 도와주소서.

 

들보의 동쪽에 던지니 / 拋樑東

바다에 돋는 해 마음을 비추어 붉네 / 滄溟旭日照心紅

선생의 가학은 원래 하나였으니 / 先生家學元無貳

곧 밝음을 잡고 주옹이라 부르네 / 直把惺惺喚主翁

 

들보의 서쪽에 던지니 / 拋樑西

높은 대 우뚝하여 석양에 혼미하네 / 高臺超遞夕陽迷

수시로 쉬며 조금 수고롭고 많은 공을 얻으니 / 隨時宴息眞功在

다시 내일 아침엔 부지런한 순 임금처럼 닭이 울면 일어나네 / 更向明朝孶舜鷄

 

들보의 남쪽에 던지니 / 拋樑南

푸른 산봉우리 빼어난 색 하늘과 같네 / 靑螺秀色與天涵

상서로운 구름이 그 속에서 나와 / 祥雲瑞霱從中出

남방의 선남선녀 몇이나 낳았나 / 產得南州幾善男

 

들보의 북쪽에 던지니 / 拋樑北

층층이 큰 산 높이 치솟아 우뚝하네 / 屭屭巨岳參雲特

때때로 지나가는 장맛비는 농민을 위로하고 / 時行霖雨慰三農

만국의 백성들은 황제의 힘을 노래하네 / 萬國黎元歌帝力

 

들보의 위쪽에 던지니 / 拋樑上

맑은 하늘 만리에 규성이 밝네 / 晴天萬里奎星朗

문명이 처음 정화를 드러내고 / 文明初載露精華

오백년 지금에 상서로운 상을 징험하네 / 五百年今徵瑞象

 

들보의 아래쪽에 던지니 / 拋樑下

산은 첩첩 물은 휘돌아 단지 광야뿐이네 / 山簇川回只曠野

심지 않으면 어떻게 삼백 다발을 거두리오 / 不穡不能三百廛

제나라 교외에서 풍년 비는 사람은 누구인가 / 誰是齊郊祈歲者

 

엎드려 바라건대 상량을 한 뒤에 산천은 은혜를 내려 주시고 경물은 보호해 지켜 주시며, 문밖 정원을 서성거리며 담옹(淡翁)의 청렴결백한 심법을 체득하고 집과 창을 내려다보고 우러러보며 성헌(惺軒)이 강구한 진실한 도리를 잇게 해 주시며, 전대의 빛을 잃지 않고 다가오는 밝음을 기다리게 해 주소서.

 

숭정(崇禎) 기원후(紀元後) 오주(五周) 기해 3월 일, 후학 문소(聞韶) 김도화(金道和)는 삼가 찬한다.


'心眼齋 > 漢詩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계 박세당   (0) 2019.01.11
四勿箴(사물잠) -程伊川  (0) 2018.12.29
漢詩 結構法  (0) 2018.05.31
金笠與空虛僧共作 應酬詩六首  (0) 2018.05.08
御製小學序  (0) 2018.03.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