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백 스무 번째 이야기
2012년 5월 28일 (월)
서당 교육과 경제ㆍ법률
  나라도 잃고 할 일도 잃어야 했던 일제강점기의 선비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을까. 평생을 공부한 한문은 이미 세상에 쓸모가 없어졌고 한문을 버리고 공맹(孔孟)을 욕해야 개명한 선각자로 취급받던 그 시절에도, 그들은 변화하는 세상을 외면한 채 농부는 농사를 지어야 하고 매미는 하염없이 울어야 하듯이 그저 한문을 읽고 후세에 누가 읽어줄지도 모를 한문을 지었다. 오직 구학(舊學)만을 고집했던 그들은 대개 당시에도 외로웠고 역사에서도 후한 평가를 받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그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한문은 글종자[文種]인들 이을 수 있었을까.

  보내온 편지를 읽어보니 우리 동방의 학문은 체(體)만 있고 용(用)이 없어서 서양의 학문에 모멸을 당한다고 개탄하시고 저로 하여금 후학들을 인도할 때 경술(經術)을 뿌리로 삼고 경제와 법률을 함께 공부하게 하라고 하시니, 여기서 우리 존장(尊丈)께서 세상 풍파를 오래 겪었는데도 결국 세상에 대한 걱정을 잊어버리지 않으시고 비록 연로하셨어도 가슴 속에 열정은 아직도 왕성하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대저 경제와 법률은 애초에 경술의 범위 밖에 있지 않지만 그 본말과 조목은 구별이 없을 수 없습니다. 예컨대 《서경(書經)》 〈주관(周官)〉과 〈입정(立政)〉에 열거된 것이 이 일인데, 《주례(周禮)》에서는 육덕(六德)과 육행(六行)을 근본으로 삼아 놓고 육예(六藝)로써 뒤를 이은 것1)이 이러한 경우입니다. 비록 그렇지만 이는 오직 성인이 세상에 나와서 인륜 기강이 밝아지고 정치 제도가 펼쳐진 뒤에라야 이를 말할 수 있습니다. 보잘것없고 용렬한 저 같은 자가 어찌 남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있겠습니까.
  그렇지만 또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지금 천하가 극히 혼란한 것은 일조일석(一朝一夕)에 그렇게 된 것은 아닙니다. 중고(中古) 이래로 우리나라의 풍속이 경술을 중시하고 공맹(孔孟)을 존숭하였으나 사실은 한갓 헛된 형식만 남았을 뿐 진리는 없어졌으니, 그 폐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더구나 지금 서양의 오랑캐들이 건너와서 세상의 질서가 뒤집혀 세상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육경(六經)은 지금 시세(時勢)에 맞지 않고 공자는 서양의 철인보다 못하다고들 하니, 비록 진(秦)나라 때와 같은 분서(焚書)는 없지만 옛 전적(典籍)들이 불타버린 지는 오랜 셈입니다.
  이러한 때에 시속(時俗)에 전혀 어두운 한두 젊은이들이 이 적막한 산골로 나를 찾아와서 주공(周公), 공자(孔子)의 글을 읽어 사람의 도리를 조금이라도 아니, 그 정상이 불쌍하고 그 형세가 매우 외롭다 하겠습니다. 게다가 다른 공부까지 하게 한다면 다른 공부는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좋아하는 것이고 우리 구학(舊學)은 많은 사람들이 다 같이 버리는 것이니, 뉘라서 온 세상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버리고 많은 사람들이 버리는 것을 기꺼이 하려들겠습니까. 이렇게 되면 필경 경제와 법률은 제 자리를 차지하고 경술은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말 터이니, 이것이 염려스러운 일입니다.
  제 소견이 이와 같은데 우리 존장께서는 다시 무슨 말씀으로 저를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1)《주례(周禮)》에서는…것 : 육덕(六德)은 여섯 가지 덕으로 지혜로움[智], 어짊[仁], 밝음[聖], 의로움[義], 충성스러움[忠], 온화함[和]이며, 육행(六行)은 여섯 가지 행실로 효도[孝], 우애[友], 동성(同姓) 간에 화목함[睦], 이성(異姓) 간에 화목함[婣], 이웃 간에 신실함[任], 서로 구휼함[恤]이다. 육예(六藝)는 여섯 가지 기예로 예(禮), 음악[樂], 활쏘기[射], 말몰기[御], 글[書], 산수[數]이다. 중국 주(周)나라 때에는 교육을 담당한 대사도(大司徒)가 각 지방에 이 세 가지를 가르쳐서 잘하는 사람을 예우하여 등용하였다. 《周禮 地官 大司徒》

[竊讀來諭, 慨吾東學問之有體無用, 不免見侮於彼敎, 欲使謙引進後學, 而根以經術, 兼治經濟法律. 此見吾丈涉世旣久而不果於忘世, 雖甚衰暮而胸中之勃勃依然故在耳. 大抵經濟法律, 初不在於經術範圍之外, 而其本末科條, 不能無別. 如周官立政所臚列者皆是物, 而其六德六行爲其本焉, 繼之以六藝者此也. 雖然此惟聖人旣作, 倫紀明而治具張, 然後可以語此耳. 如謙輩孱劣, 何足以有及人者乎? 抑又思之, 天下之極於亂, 非由於一朝一夕也. 自中古以來, 國俗重經術而存孔孟, 然其實則徒存虛文, 眞理則亡, 其弊有不可勝言者. 況今洋海震蕩, 冠屨倒置, 世之人, 一辭以爲六經無當於時勢, 孔子有愧於西哲, 雖無秦火之烈, 而古籍之入於煨燼則久矣. 於是而有一二少年之全昧時俗者, 相從於寂寞之濱, 誦習周孔, 粗辨人倫; 其情地可矜, 其形勢甚孤. 若又使之兼治它業, 則它業者擧世所趨, 而舊學者衆所同棄; 人情孰肯捨其擧世之趨而甘爲衆棄哉! 畢竟經濟法律, 遽有其席, 而經術爲弁髦; 此非可慮者乎? 鄙見如此, 未知吾丈將復何以敎之?]
 

                   ▶ 단원 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 중 서당(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