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칼럼 - 서른 여섯 번째 이야기

남을 위해 살기, 나를 위해 살기.

2011. 3. 30. (수)

 

1.
  ‘공석불가난 묵돌불가검(孔席不暇煖 墨堗不暇黔)’이란 말이 있다. 공자가 앉았던 자리는 따뜻해질 틈이 없고, 묵자가 묵었던 집의 아궁이는 검댕 낄 틈이 없다는 말이다. 공자와 묵자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은 그 이유도 짐작할 것이다. 두 분 다 세상을 구하기에 바빴던 분들이라, 잠시도 한군데 느긋하게 머물러 있을 여유가 없었다는 말이다. 공자는 앉았다 일어섰다 밖으로 나갔다 들어왔다 하느라 구들장이 엉덩이 덕을 볼 사이가 없었다는 말이요(중국 고대에 구들장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묵자는 급급하게 이 일 저 일 쫓아다니느라 한 집에 머물러 밥해 먹을 사이도 없었다는, 대략 그런 이야기이다.

  참으로 존경할만한 분들이다. 자기 이익 챙기기에 급급한 이 세태를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다. 그런 분들이 지금 여기에도 있었으면 좋겠다. 요즈음 정치하는 분들이야 말은 다 거창하게 애국 애족을 부르짖고 세계 평화를 구호로 내걸지만, 그걸 진실로 믿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그런 사정은 공자와 묵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도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주 왕조의 문물제도가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는 서지 않아 총체적으로 혼란을 겪던 시대이니, 그 시절의 세태와 인심도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다. 열국이 부국강병을 추구하느라 전쟁이 끊임이 없어 그 사이에서 백성만 죽어나는 세상이었다. 윤리강상도 완전히 무너져 ‘신하가 임금을 죽이고, 자식이 아비를 죽이는[臣弑其君 子弑其父]’ 일도 숱하게 많았던 시절이었다. 그러한 세상이면 당연히 그 혼란을 틈타 영달을 꾀하려는 부류의 인물들도 숱하게 나오기 마련이다. 혼란이 심할수록 신분의 변화가 심하기 마련이고, 그때 기회를 잘 타면 부귀공명을 단번에 거머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인물들이 각각 재주를 뽐내면서 천태만상의 요지경을 빚기도 한 것이 바로 춘추전국시대이다. 그러한 수많은 사람들 가운데 사상적으로 하나의 체계를 갖춘 사람들과 그들의 학문을 제자백가라 부른다. 그리고 그 제자백가들 가운데 구세적(救世的) 열정으로 대표되는 것이 바로 공자와 묵자인 것이다. ‘공석불가난 묵돌불가검’이란 말은 그러한 공자, 묵자의 사상적 경향을 산뜻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그런 난세를 기회로 삼아 입신양명을 꾀하거나, 혹은 세상을 구하려는 열정에 불타는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경향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혼란한 세상에서 날뛰다가는 본전도 못 건진다는 생각에 소극적인 방향으로 행로를 정한 사람들이다. 실제로 춘추전국시대에 어떤 방면으로든 이름을 날렸던 사람 치고, 제 명에 죽은 사람은 많지 않다. 그 시대의 역사를 이야기로 꾸민 동주열국지(東周列國志)를 읽다 보면, 참으로 인간사의 천태만상을 보는 흥미와 더불어, 대개 비극적인 종말을 맞는 영웅호걸들의 삶에 비감해지기도 한다. 그런 모습들을 동시대 현장에서 생생하게 보아서일까? 그저 조용히 제 한 몸 보전하면서 깨끗하게 사는 길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논어 가운데는 이런 은자(隱者)류의 사람들이 많이 나오며, 그들은 대체로 “도도히 흐르는 세상의 흐름을 누가 바꿀 수 있다는 말인가?” 하는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들은 대체로 초야에 은거하면서 농사짓는 것으로 생계를 삼았을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자연과 친숙할 수밖에 없었고, 자연의 법칙에 대한 인식의 지평이 넓어지게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들 대부분은 그 당시로 보아서는 최고의 지적 수준을 가진 이들이었고,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의 삶을 통해 일정한 사상을 산출해 내게 된다. 그것이 바로 노자와 장자로 대변되는 도가(道家) 사상이라 할 수 있다.

2.
  이 도가 사상은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장자의 소요자재(逍遙自在)를 표방하는 큰 모습으로 우뚝 서면서 유가 사상과 더불어 중국 사상사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게 된다. 그런데 그 흐름의 근원에는 은자류의 ‘독선기신(獨善其身)’ 사상이 깔려 있고, 그 사상은 한마디로 ‘내 생명 잘 보존하면서 깨끗이 살자!’는 것이다. 그러한 은자류의 사상을 노장사상처럼 세련된 모습으로 내놓지 않고, 가장 소박하고 원시적인 형태로 주장하는 것이 바로 양주(楊朱)이다. 맹자에는 “털 한 오라기 뽑아서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더라도 털을 안 뽑는다.”는 말로 양주의 사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 말을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소를 하고 만다. “그깟 털 한 오라기가 무어라고 안 뽑는다는 말이냐? 그런 주장을 한 사람이 어떻게 사상가로 이름을 남긴단 말이냐?” 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양주와 정반대되는 경향의 사상가인 묵자를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다 닳도록 천하를 위해 힘쓴다.”고 형용한 것에 대하여는 별로 이상하다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과 비교하면 그 반응이 너무 즉각적이다. 그런데 필자가 생각하기엔 묵자가 더 이상하다. 왜 천하를 위해 제 목숨을 다 바친단 말인가? 천하의 안녕과 이익을 위해 그렇게 선뜻 자기 몸을 바치려는 사람이 더 이상한 것 아닌가? 어쨌든 양주에 대해서는 ‘털 한 오라기’라는 극단적 표현 때문에 그런 반응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짐작되지만 좀 석연치 않다. 양주의 사상은 그렇듯 쉽게 코웃음치고 넘어갈 정도의 사상이 아니라고 생각되기에 좀 더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양주가 ‘털 한 오라기’라고 한 것은 자신의 몸을 가리키되, 그것의 가장 작고 가벼운 것이라 해도 이 세상 무엇보다 더 소중하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한 표현이다. ‘털 한 오라기’의 상대인 ‘천하’라는 말은 몸 밖의 것 가운데 가장 크고 무거운 것을 들어 보인 것이다. 제 몸 가운데 가장 가볍다 할 수 있는 ‘털 한 오라기’와 밖의 사물 가운데 가장 크고 무겁다 할 수 있는 ‘천하’를 비교하면서 아무리 몸 밖의 것이 크고 중요하더라도 내 몸만은 못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한 생각이 이상한 생각일까? 좀 극단적으로 표현된 것이기는 하지만 따지고 보면 일반 사람들도 “내 몸이 가장 소중한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면이 있지 않은가? 몸 밖의 것이야 결국 다 내 몸을 위하여 쓰여야 할 도구요 수단이니, 무엇보다 소중한 것은 내 몸이라는 생각은 매우 일반적인 생각일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건강이 제일이다.”라는 말 속에도 이러한 생각이 숨겨져 있다. 온갖 부귀영화가 다 무슨 소용인가? 내 한 몸 아프면 모두 그림의 떡이다. 우선 건강해야 그것을 누리든 말든 할 것이 아닌가? 양주의 사상은 바로 이런 사상을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다듬어 낸 것이다.

  천하를 위해 몸을 바치려는 사람은 물론 귀하고 소중하다. 그렇다고 하여 양주 식의 사상을 극단적 이기주의라 하여 그 의미를 깎아내려서도 안 될 것이다. 오히려 양주의 생각을 좀 더 깊이 받아들여서 우리의 삶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모두 자신의 몸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자가 되자는 말인가? 그럴 리야 있겠는가. 근본을 돌아보자는 말이다. 우리가 애초에 귀중하게 생각했던 것이 무엇이었던가를 되짚어 보자는 말이다.

3.
  처음부터 세상을 위해 살겠다는 거룩한 이념으로 살기 시작한 사람이 있는가? 자라면서 가치를 배우고, 위인들의 전기를 좀 읽으면서, 혹은 종교를 통해 거룩한 이상을 품게 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자신이 가장 소중하다는 생각은 버리지 않는다. 돈도 자신을 위해 벌고, 명예도 결국 나를 위해 있는 것이다. 물론 그 과정에서 가족을 비롯하여 자신이 사랑하고 아끼는 이들을 자기화하는, 자아의 확대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틀림없다. 그렇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그 뿌리에는 여전히 자기가 있다. 그리고 자기라는 인식의 출발점은 남의 몸과 구분되는 내 몸이다. 내 몸의 생명이다.

  그런데 보라. 내 몸을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 ‘나’라는 것을 위해 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를. 돈 벌자고 열심히 일하다가 건강을 해친다. 출세를 하자고 날뛰다가 비명횡사한다. 돈이나 명예 등은 분명 내 밖의 것들이요, 근본은 나이며 내 몸이라 한다면 근본과 말단이 뒤집어진 꼴 아닌가? 거기다 돈 잃었다고, 명예 잃었다고 자살하는 경우까지 생각해 보면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자신을 위해 얻으려고 했던 것 때문에 자신을 죽이는 일로 귀결된 꼴이니 말이다. 이런 경우는 정말 양주의 말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아야 할 것 같다. 내가 사는 모습은 어떠한가? 나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처음에 수단으로 생각했던 것들이 어느새 목적으로 둔갑하여 내 삶을 옥죄고 있지는 않은가?

  물론 양주의 생각은 ‘나’ 또는 ‘자신’ 이라는 것을 ‘몸’이라는 것으로 지나치게 단순화시킨 면이 있다. 그렇게 ‘나=내 몸’으로 등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만일 그것이 진실이고, 양주의 사상에 일리가 있다고 한다면, 오늘날 제 몸 건강을 위해서라면 곰 쓸개, 사슴 피 등을 찾아다니고, 건강 비법이라면 목을 매고 달려드는 여러 군상들을 옹호하는 사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4.
  앞에서 말했듯이 사람은 자신을 넘어서 남을 자기화할 수 있는 존재이다. 거기에 바로 사람의 사람다움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육체의 생명에만 연연해하다 보면 오히려 활발발한 삶을 잃게 된다는 반성도 있을 수 있다. 육체적인 생명만이 생명의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이 나오는 것이다. 자신을 넘어 남을 자기화할 수 있는 인간의 특성에 근거하여 도덕이론을 정립한 것은 유가라 할 수 있다. 육체적 생명을 넘어선 활발발한 정신적 생명을 추구한 것은 바로 노장사상이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노장의 사상은 양주가 말한 육체적 생명에 바탕을 두면서도 그것을 넘어선 정신적 생명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매우 긴밀한 연관성을 지닌다.

  노자나 장자 사상의 바탕에는 이 몸의 생명을 잘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 놓여있다. 노자는 도를 알면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다’고 했다. 장자는 ‘쓸모없는 것의 큰 쓸모[無用之大用]’를 말하였다. 쓸모가 있어 베어지는 나무와 같은 존재가 아니라 쓸모가 없어 천수를 누리는 나무와 같고자 한 것이다. 이런 생각들은 모두 몸의 생명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노자와 장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몸의 생명을 넘어서는 보다 높은 생명을 추구한다. 노자는 가장 큰 재앙은 몸이 있는 것이며 죽음은 종기를 짜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장자는 대자유(大自由)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기 몸을 넘어서야 함을 강조한다. 얼핏 보면 몸을 철저히 부정한 사상 같지만 이들의 사상이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육체적 생명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그것을 넘어선 것이다. 그 사상적 뿌리는 육체적 생명을 중시하는 데 있다. 양주 사상의 한계를 보여주고 그것을 넘어선 측면이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양주의 출발점이 부정된 것은 아니다.

  그러니 양주의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하고 싶다. 우리 삶의 출발점과 바탕을 되새기는데 양주의 ‘털 한 오라기’는 매우 쓸모가 있다. 극단적인 표현이기에 오히려 생생하게 와 닿지 않는가? 나의 삶이 무언가 이상하게 꼬여 나가고 있다고 생각될 때, 무엇을 위해 사는지 헷갈릴 때 양주의 ‘털 한 오라기’를 화두처럼 떠올려보는 것은 어떨까? 남을 위하고 세상을 위하고... 그것은 그 다음의 일이다. 그리고 진정 그렇게 남을 위해 사는 것도 아니면서, 혹은 자신을 위한다고 생각하면서 오히려 자신을 죽여 나가는 삶을 살고 있는 모습들이 곳곳에서 발견되지는 않는가? 나도 혹 그러한 군상들의 하나는 아닌가?

 

   

 

글쓴이 / 성태용


* 서울대 졸
  건국대 문과대학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학 단장

  현 건국대 철학과 교수

출처 : 이보세상
글쓴이 : 이보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