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돈(査頓)의 由來

 

 

우리는 흔히 자기의 일은 젖혀놓고 남의 일에만 참견할 때 ‘사돈 남 말 한다’ 라고 하고

저와는 상관없는 일에 간섭한다는 뜻을 가진 속담으로 ‘사돈집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말이 있으며 남이나 다름없는 먼 친척을 ‘사돈의 팔촌’ 그리고 사돈집을 높여 ‘사돈댁’,

‘안사돈’ ‘바깥사돈’ 등처럼 사돈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면서 이 사돈이라는 말이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돈의 는 한자로 라고 쓰며 이 글자는 木 + 且 로서 且(차)는 겹쳐 쌓는 모양 또는 늘어놓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의 뜻은 나무를 늘어놓아 묶여있는 ‘뗏목’을 나타내기도 하고

그 뗏목이 잘 묶여져 있는지 살펴본다는 점에서 ‘조사한다’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槎(사 : 뗏목, 나무 그루터기·등걸)와 같은 글자입니다.

은 한자로 이라고 쓰며 이 글자는 頁 + 屯으로 屯(둔, 준)은 어린아이의 머리를 묶어 꾸민

모양을 본떠 ‘많은 것을 묶어 모으다’ ‘사람이 모이다’ ‘진을 치다’는 뜻이 있는데 頁(머리 혈)

합해져서 ‘조아리다’ ‘머리를 땅에 대고 절을 하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뗏목(여기서는 나무 그루터기 또는 등걸을 의미함)을 나타내는 査와 절을 한다는 頓이

합해진 査頓(사돈)이란 낱말이 왜 자녀의 혼인으로 맺어진 두 집안의 어버이끼리 혹은 넓게는

일가친척 간에 서로 부르는 말이 되었을까요?

 

문헌에 따르면 고려 예종 때 여진족을 물리친 원수(元首) 윤관(尹瓘) 장군과 부원수 오연총(吳延寵)

장군이 서로 자녀를 혼인시킨 바 있는데 공교롭게도 두 집안은 냇물을 사이에 둔 마을에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윤관 장군이 집에서 담근 술이 익자 오연총 장군 생각이

나서 술병을 들고 냇가에 이르렀는데 간밤에 내린 비로 물이 불어서 건널 수 없게 되자

되돌아오려고 하는 순간 저쪽에서도 오연총장군이 술병을 들고 오는 게 보여 두 사람은 각기

건너편 나무 등걸(줄기를 잘라낸 나무 밑동)에서 자기가 가져온 술을 마시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윤 장군이 오 장군에게 “대감이 내게 한 잔 들라고 하면 내가 가져온 술을 대감의

술로 알고 마시고 내가 권하면 대감 또한 갖고 계신 술을 내 술로 알고 드시구려” 하고는

“잡수시오”하면 돈수(頓首 :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을 함)하고 자기의 술을 먹었던 것입니다.

 

이 이야기가 항간에 돌아서 서로 자녀를 혼인시키는 것을 “우리도 사돈(査頓 : 나무 등걸에서 절하기)을 해 볼까요?” 하고 말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사돈이란 말은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한자어라고

합니다.

출처 : 록담(鹿潭)의 예절교실
글쓴이 : 이곡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