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향(竹鄕) 이생강(李生剛)의 "향수"


                  
             [重要無形文化財 45號 / 大笒散調 藝能保有者]


연주자 죽향(竹鄕) 이생강(李生剛) 선생 하면 우선 대금이 떠오를 만큼 그는 대금으로 유명하다. 대금산조 예능 보유자로서 중요무형문화재 45호인 그는 갓 쓰고 도포입고 대금을 들어 산조나 시나위, 민요 가락을 연주하던 단아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익숙하다. 전형적인 국악인의 모습이다.

그러나 사실 그보다 더 강한 인상을 우리에게 주었던 것은 그가 고 길옥윤님과 함께 가졌던 잼셋션에서 원래 5 음계 악기로 만들어진 우리의 젓대로 7 음계 음악을 자유자재로 연주하던 모습이었다. 원래 양악기를 가지고도 대가가 아니면 협연하기가 어렵다는 재즈의 잼셋션. 그것을 우리의 젓대를 들고 멋스럽게 해내는 그의 음악적 감각과 기능은 가히 당대에는 겨눌 사람이 없다 할 만했다.



특히 1960년대부터 유럽지역의 40여 개국을 순회하면서 진가를 한껏 발휘한 바 있는데 그가 1960년 5월 17일 프랑스 국제 민속예술제에 참가하여 당시 반주 악기로만 여겨왔던 대금으로 독주하는 기회를 얻어 현지 언론으로부터 “마치 수십만 마리의 꿀벌들이 꽃을 나르기 위해 날아다니는 듯한 소리와 비슷하다.”라고 격찬을 받을 만큼 당시 한국에 대해서 잘 모르고, 한국 음악에 대해서는 더욱 모르는 서양 사람들에게 우리의 대금소리를 국제적으로 알리는데 큰 공헌을 했다.

원래 대금은 반주용 악기로 많이 썼지만 죽향은 최초로 무대에서 독주자의 악기로 격상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그는 대금에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나, 중금. 소금, 단소, 피리, 퉁소 등 우리 관악기 전반에 걸쳐 미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는 많은 해외 공연에서 우리 고유 악기의 아름다운 소리를 뽐냈고, 또 우리 가락에 내재하는 흥과 멋과 한을 소개하여 우리 민속악의 깊은 음악성에 많은 외국인의 심금을 울려 절찬을 받기도 했다. 죽향이 젓대를 처음 잡기는 여덟 살 때라고 알려진다.

그 이후 그는 단 하루도 손에서 젓대를 놓아본 일이 없고, 오직 예의 길에 몸을 바쳐 외길 인생을 걸어 왔다. 그런 만큼 가요 114 추석 특집 죽향 이생강의 "향수"는 그의 음악적 정서의 결산일 수 있으며, 그의 음악과 함께 한 삶은 어쩌면 핍박  받고 그늘져야 했던 우리 겨레의 자취를 반영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1.강원풍류(소금)[이생강,임동창]    

 


이생강,임동창 2002년 크로스오버 앨범’共感’에 수록된 소금 연주곡. 강원풍류는 영동지방 또는 강원도제로 불리는 메나리제로 강원지방의 정서를 자유분방하게 표현하는 즉흥곡이다. 참고로 신라 삼죽중 하나인 소금은 관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 음역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쓰이는 소금은 옛기록으로 보아 개량된 것으로 보인다.

 

 


2.목포의 눈물(대금)[이생강 with JAZZ BAND/SUPER TRIO]  



문일석 작사, 손목인 작곡, 이난영의 노래로 1935年 발표된 작품. 가장 한국적이고 비극적인 멜로디는 우리 가요역사상 영원히 기억될 불멸의 고전으로 꼽히고 있다. 원곡을 건반의 달인이자 작곡의 귀재인 신관웅이 편곡하여 1998년에 출반한 이생강의 앨범 [희망가]에 수록된 작품.


3.동백아가씨(대금)[이생강 with JAZZ BAND/SUPER TRIO]



한산도 작사, 백영호 작곡. 이미자의 노래로 1964년 신성일, 엄앵란이 주연한 동명의 영화 주제가이다. 한국 가요사에서 가장 애절하고 쓰라린 비애미(悲哀味)의 상징적인 작품 중에 하나로 대접받고 있는 작품이다. 원곡을 신관웅이 편곡하여 1998년에 출반한 이생강의 앨범 [희망가]에 수록


4.칠갑산(대금)[이생강]

조운파 작사,작곡 "윤상일"의(이후 주병선이 불러 히트함) 노래로 1980년도에 발표된 작품. 충남 청양의 칠갑산에 얽힌 애기 즉 생활이 궁핍해 삶이 어려워지자 성년도 안된 딸을 팔아 삶을이어가는 화전민들의 모순된 사회 현실을 현대 감각에 맞게 구성한 노래이다.원곡을 이생강 선생이 편곡하여 2000년도에 출반한 앨범[추억]에 수록.


5.진도 아리랑(대금)[이생강]



전라도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전라도 지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소절은 따라 부를 수 있는 아리랑이다. 진도 아리랑의 흥겨우면서도 구슬픈 가락을 대금소리로 표현한 곡으로 대금과 타악이 어우러지면서 박진감 있게 진행된다. 이생강 선생이 무용 음악으로 새롭게 편곡한 작품으로 2005년도에 출반한 이생강의 앨범 [추억의 소리 3집]에 수록.


6.추야월(秋夜月) (단소)[이생강]



1985년 출반된 이생강 [한국관악독주집]에 수록. 소리는 크지 않지만 맑고 깨끗한 음색이 특징인 단소악기로 가을밤의 풍경을 잘 함축하고 있는 작품.


7.자진모리(대금산조)[이생강]



기술적으로 기교적으로 더 이상 완벽할 수 없다고 평가받는 죽향(竹鄕) 이생강(李生剛) 선생의 대금산조이다. 산조의 일반적인 형식대로 템포가 가장 느린 진양에서 시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점점 빠르게 나아가는데 이생강류 대금산조 최고의 백미인 "자진모리"이다. 무호흡상태에서 숨가쁘게 진행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연주되면서도 정확한 연주와 기교가 압권이다. 2005년 출반된 이생강 음악인생 60주년 기념음반 <죽향> 에 수록.


8.청산유수 (대금)[이생강]



성혼이 자연을 예찬한 시조 ‘말없는 청산이요’를 연상케 하는 대금 연주곡. 푸른 산에서 시작된 물줄기가 거침없이 흘러가는 모습을 대금으로 묘사한 것으로 맑고, 깨끗한 이미지의 물 그리고 물길의 흐름을 가로막는 굵은 돌, 굵은 돌과 부딪히는 물의 정경 등이 연속성을 가지며 펼쳐지는 작품. 2006년 출반된 이생강 다악 음반 "풍적"에 수록.


9.Summer Time(피리)[이생강,임동창]



이생강,임동창 2002년 크로스오버 앨범’共感’에 수록된 피리 연주곡. 원곡은 1935년 미국의 포크 오페라 (포기와 베스)속의 넘버로, 제1막에서 어부의 젊은 아내 클라라가 아기를 달래면서 부르는 자장가이다. 멜로디는 임동창 선생의 피아노 연주가 리드하는 새로운 편곡을 선보이고 있다.


10.El Condor Pasa(퉁소)[이생강]



이생강,임동창 2002년 크로스오버 앨범’共感’에 수록된 퉁소 연주곡. 퉁소는 피리와 더불어 관악기의 대명사로 불렸으나 대금소리에 밀려서 점차 연주되지 않고 지금은 북청사자놀이에서 길이는 다르지만 탈춤의 반주악기로만 명맥을 유지하고있다. 굵고 낮게 깔리는 소리는 민중의 애환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여 널리 알려진 악기로 보이며 단소와 마찬가지로 연주기량이 뛰어나야만 시나위를 연주할 수 있다.


11.반달(단소)[이생강]



윤극영 작사ㆍ작곡으로 1924년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동요이다. 당시에「어린이」지 창간호에 발표된 동요로 왜정시대의 우리나라 현실과 우리 민족의 마음을 비유했다고 한다. 원곡을 이생강 선생이 편곡하여 2006년에 출반한 앨범 이생강의 위대한 우리소리 2집[단소 소리]에 수록.


12.아리랑(대금)[이생강(대금).임경주(가야금)]



가야금의 명인 임경주 선생과 대금의 거장 이생강 선생 두 명인이 함께 만든 민요 연주곡이다. 가야금과 대금이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어우러진 민요음악으로 가야금이 한 마루(節) 연주하면 대금이 한 마루 연주하고 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임경주 선생의 2006년 앨범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와 민요가락]에 수록.

출처 : 여민락(與民樂) 인간문화재 이생강선생님
글쓴이 : 무소유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