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眼齋/漢詩論
[스크랩] 월명이칭(月名異稱)
장석 서명택
2014. 1. 6. 10:46
1월~12월의 월명이칭(月名異稱) 입니다. 옛 사람들은 1년 12달의 이름에 특별한 의미를 붙여 시를 지을 때나 기타 글을 지을 때 달의 이칭(異稱)을 사용하여 한껏 운치를 즐겼다. 3월을 화월(花月), 중화(中和)라 부르는가 하면 8월을 계월(桂月), 소월(素月), 백로(白露)로 불렀다. 달의 이칭(異稱)에 대한 상식이 없다면 소춘(小春)을 1월 원월(元月), 단월(端月), 태월(泰月), 추월(陬月), 초춘(初春), 맹춘(孟春), 조세(肇歲), 청양(靑陽), 맹양(孟陽), 정양(正陽), 맹추(孟陬), 대족(大簇), 월정(月正), (寅) 2월 여월(如月), 영월(令月), 여월(麗月), 대장월(大壯月), 중춘(仲春), 감춘(酣春), 중양(仲陽), 중양(中陽), 양중(陽中), 협종(夾鍾), 화조(華朝), 혜풍(惠風), 도월(桃月), (卯) 3월 화월(花月), 가월(嘉月), 잠월(蠶月), 병월(寎月), 만춘(晩春), 모춘(暮春), 계춘(季春),전춘(殿春), 재양(載陽), 고세(姑洗), 청명(淸明), 곡우(穀雨), 중화(中和) (辰) 4월 여월(余月), 건월(乾月), 초하(初夏), 맹하(孟夏), 시하(始夏), 유하(維夏), 신하(新夏), 입하(立夏), 괴하(槐夏), 맥추(麥秋), 정양(正陽), 중여(仲呂), 소만(小滿) (巳) 5월 고월(皐月), 매월(梅月), 구월(姤月), 순월(鶉月), 우월(雨月), 중하(仲夏), 매하(梅夏), 서월(暑月), 매천(梅天), 훈풍(薰風), 오월(午月), 포월(蒲月), 조월(蜩月), 명조(鳴蜩), 장지(長至), 유빈월(甤賓月), 오(午) 6월 계월(季月), 복월(伏月), 계하(季夏), 만하(晩夏), 상하(常夏), 재양(災陽), 소서(小暑), 유월(流月), 형월(螢월(月), 임종월(林鍾月), 조월(朝月), 미(未) 7월 양월(涼月), 냉월(冷月), 동월(桐月), 초추(初秋), 맹추(孟秋), 신추(新秋), 상추(上秋), 유화(流火), 처서(處暑), 과월(瓜月), 선월(蟬月), 상월(相月), 조월(棗月), 신(申) 8월 계월(桂月), 소월(素月), 중추(仲秋), 한단(寒旦), 교월(巧月), 가월(佳月), 안월(鴈月), 남여(南呂), 장월(壯月), 백로(白露), 유(酉) 9월 현월(玄月), 국월(菊月), 영월(詠月), 박월(剝月), 모추(暮秋), 잔추(殘秋), 만추(晩秋), 고추(高秋), 상진(霜辰), 무사(無射), 수의(授衣), 술(戌) 10월 양월(陽月), 량월(良月), 곤월(坤月), 초동(初冬), 맹동(孟冬), 입동(立冬), 소춘(小春), 소양춘(小陽春), 응종월(應鍾月), 해(亥) 11월 창월(暢月), 고월(辜月), 복월(復月), 중동(仲冬), 양복(陽復), 남지(南至), 황종(黃鍾), 가월(葭月), 지월(至月), 자(子) 12월 엄월(嚴月), 랍월(臘月), 사월(蜡月), 제월(除月), 빙월(氷月), 도월(涂月), 모동(暮冬), 만동(晩冬), 궁동(窮冬), 모세(暮歲), 모절(暮節), 가평(嘉平), 대여(大呂), 축(丑) 옛 사람들은 1년 12달의 이름에 특별한 의미를 붙여 시를 지을 때나 기타 글을 지을 때 달의 이칭(異稱)을 사용하여 한껏 운치를 즐겼다. 3월을 화월(花月), 중화(中和)라 부르는가 하면 8월을 계월(桂月), 소월(素月), 백로(白露)로 불렀다. 달의 이칭(異稱)에 대한 상식이 없다면 소춘(小春)을 1월 원월(元月), 단월(端月), 태월(泰月), 추월(陬月), 초춘(初春), 맹춘(孟春), 조세(肇歲), 청양(靑陽), 맹양(孟陽), 정양(正陽), 맹추(孟陬), 대족(大簇), 월정(月正), (寅) 2월 여월(如月), 영월(令月), 여월(麗月), 대장월(大壯月), 중춘(仲春), 감춘(酣春), 중양(仲陽), 중양(中陽), 양중(陽中), 협종(夾鍾), 화조(華朝), 혜풍(惠風), 도월(桃月), (卯) 3월 화월(花月), 가월(嘉月), 잠월(蠶月), 병월(寎月), 만춘(晩春), 모춘(暮春), 계춘(季春),전춘(殿春), 재양(載陽), 고세(姑洗), 청명(淸明), 곡우(穀雨), 중화(中和) (辰) 4월 여월(余月), 건월(乾月), 초하(初夏), 맹하(孟夏), 시하(始夏), 유하(維夏), 신하(新夏), 입하(立夏), 괴하(槐夏), 맥추(麥秋), 정양(正陽), 중여(仲呂), 소만(小滿) (巳) 5월 고월(皐月), 매월(梅月), 구월(姤月), 순월(鶉月), 우월(雨月), 중하(仲夏), 매하(梅夏), 서월(暑月), 매천(梅天), 훈풍(薰風), 오월(午月), 포월(蒲月), 조월(蜩月), 명조(鳴蜩), 장지(長至), 유빈월(甤賓月), 오(午) 6월 계월(季月), 복월(伏月), 계하(季夏), 만하(晩夏), 상하(常夏), 재양(災陽), 소서(小暑), 유월(流月), 형월(螢월(月), 임종월(林鍾月), 조월(朝月), 미(未) 7월 양월(涼月), 냉월(冷月), 동월(桐月), 초추(初秋), 맹추(孟秋), 신추(新秋), 상추(上秋), 유화(流火), 처서(處暑), 과월(瓜月), 선월(蟬月), 상월(相月), 조월(棗月), 신(申) 8월 계월(桂月), 소월(素月), 중추(仲秋), 한단(寒旦), 교월(巧月), 가월(佳月), 안월(鴈月), 남여(南呂), 장월(壯月), 백로(白露), 유(酉) 9월 현월(玄月), 국월(菊月), 영월(詠月), 박월(剝月), 모추(暮秋), 잔추(殘秋), 만추(晩秋), 고추(高秋), 상진(霜辰), 무사(無射), 수의(授衣), 술(戌) 10월 양월(陽月), 량월(良月), 곤월(坤月), 초동(初冬), 맹동(孟冬), 입동(立冬), 소춘(小春), 소양춘(小陽春), 응종월(應鍾月), 해(亥) 11월 창월(暢月), 고월(辜月), 복월(復月), 중동(仲冬), 양복(陽復), 남지(南至), 황종(黃鍾), 가월(葭月), 지월(至月), 자(子) 12월 엄월(嚴月), 랍월(臘月), 사월(蜡月), 제월(除月), 빙월(氷月), 도월(涂月), 모동(暮冬), 만동(晩冬), 궁동(窮冬), 모세(暮歲), 모절(暮節), 가평(嘉平), 대여(大呂), 축(丑) 이른 봄쯤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
출처 : 순천박씨 중앙종친회
글쓴이 : 박종재(송은) 원글보기
메모 :